여행길에서/서울

[서울/성북]도이 김재권다니엘 시인과 함께 한 '성북동 문학기행'

여울가 2015. 6. 2. 11:51

그동안 늘 바라고 있었던 성북동탐방을 할 수 있는 기회가 왔다.

생각했던 것보다 훨씬 볼거리, 들을거리가 많았던 성북동은

구석 구석이 모두 우리 역사를 담고 있는 보석같은 현장이었다.

네시간 여를 도보로 다닌 성북동 문학기행은 참으로

우리 것, 우리 문화를 너무 모르고 무관심했었다는 반성과 함께

또 다시 찾아가고픈 멋진 기행이었다.

 

깊은 이해와 문학적 고견으로 문학기행을 이끌어 주신

도이 김재권다니엘 시인께 감사와 존경을 드린다.

 

~~~~~~~~~~~~~~~~~~~~~~~

 

도이 김재권 시인과 함께하는

【서울 성북동 문학기행】

*대상: 새천년복음화사도직협회

하느님의 백성 공동체 회원

 

* 일시 : 2015년 5월 31일 일요일

오후 2시부터 ~ 오후 6시

​* 문학기행 진행 : 해설 강사, 도이 김재권 문화문학기행 플래너(시인, 칼럼니스트)

연락처: 010-5395-0128

이메일: doijkwon@hanmail.net

​서울 성북동 문학기행은

 

※ 미술사학자 혜곡 최순우 선생의 옛집 '두문즉시심산'

※ 길상화 김영한 여사(시인 백석 백기행 선생과 법정 스님과의 인연)의 길상사

※ 소설가 상허 이태준 선생의 고가 수연산방 ※승려시인 만해 한용운 선생의 거처 심우장을

4대 축으로 하는 전형적인 문학기행입니다.

 

문학기행의 소요시간은 약 4시간 정도 됩니다. 현지 사정에 따라

기행 코스의 순서나 관람 등 소요시간에 다소 변동이 있을 수 있습니다.

 

【문학기행 순서】

전철 4호선 한성대입구 6번 출구 출발 →

 혜곡 최순우 선생의 옛집 ‘두문즉시심산’ (<무량수전 배흘림기둥에 기대서서>의 저자, 전 국립중앙박물관장의 옛집)

→ 성북동 15길(현존하는 성북동의 전형적인 한옥) → 시인 조지훈 선생의 집터 ‘방우산장’

→ 화가 운보 김기창 화백 우향 박래현 부부 화백의 집터 ‘운우미술관’

→ 전등사, 전등선림(석축구조의 현대식 대웅보전) → 성락원(고종의 아들 의왕이 살던 별궁의 정원, 비개방)

 → 천주교 성북동 성당 →

길상사, 길상선원(길상화 김영한 여사와 시인 백석 백기행 선생과 법정 스님과의 인연,

김영한 여사의 아름다운 노블레스 오블리주)

→ 영성단터(새해 풍년을 기원하며 곡식을 맡은 별과 농사를 맡은 별에 제사를 지내기 위해 만든 제단, 현 작은형제회수도원)

 → 선잠단지(누에치기를 처음 했다는 중국 고대 황제의 황비 서릉 씨를 누에의 신(잠신)으로 모시고 제사를 지내던 곳)

 

간송미술관(간송 전형필 선생이 설립한 한국 최초의 근대식 사립박물관/ 연 2회(5월, 10월)의 정기전시회)

→천주교한국순교복자수도원(피정의 집/ 1956년 건축,

국내 최초로 한국 조각가들에 의해 조각된 한국 순교 성인 12인의 성상 작품)

→ 덕수교회 이종석 별장(조선 말기 마포 상인 이종석이 1900년경에 지은 별장. 비개방)

소설가 상허 이태준 선생의 고가 ‘수연산방’(상허 이태준/ 한국 단편소설의 대가로

대표작인 작품 <달밤>과 유명한 저서 <문장론> <문장 강화>가 있음)

→ 만해 한용운 선생의 거처 ‘심우장’(만해 한용운 선생이 1933년부터 생을 마감한 1944년까지 살았던 곳)

→ 성북동 비둘기 시비 공원(성북동 비둘기/ 김광섭 시인)

→ 식사 → 전철 4호선 한성대입구역 도착

 

YouTube에서 '도이 김재권다니엘 시인과 함께 떠난 '성북동 문학기행'' 보기 -

 https://www.youtube.com/watch?v=-8jc-uqg9B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