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행길에서/경상도

[경북/영주]무량수전의 배흘림 기둥을 찾아서-부석사

여울가 2010. 9. 16. 16:02

 이번 여행의 마지막 코스인 부석사...

절 앞동네에서 나물비빕밥으로 배를 채우고

늦더위가 기승을 무리는 한나절에 무량수전의 배흘림기둥을 만나러 죽어라 걸었다.

여러번 와 본 곳인어서 중도에 포기를 하여고 했는데

그래도 여기까지 왔는데 부석(뜬돌)을 보고 가야지..

힘을 냈다.

사과밭에서는 벌써 사과들이 빨갛게 익어가고 있고

길가에 할머니들은 뭘...좀 사가라고 가는 발길를 잡으신다.

 

봉황산 중턱에 있는 부석사는

신라 문무왕 16년(676)에 의상대사가 왕명을 받들어 화엄의 큰 가르침을 펴던 곳이다.

『삼국유사』에 있는 설화를 보면, 의상대사가 당나라에서 유학을 마치고 귀국할 때

그를 흠모한 여인 선묘가 용으로 변해 이곳까지 따라와서

줄곧 의상대사를 보호하면서 절을 지을 수 있게 도왔다고 한다.

이곳에 숨어 있던 도적떼를 선묘가 바위로 변해 날려 물리친 후

무량수전 뒤에 내려 앉았다고 전한다.

그래서인지 무량수전 뒤에는 ‘부석(浮石)’이라고 새겨져 있는 바위가 있다.

무량수전은 부석사의 중심건물로 극락정토를 상징하는 아미타여래불상을 모시고 있다.

신라 문무왕(재위 661∼681) 때 짓고 고려 현종(재위 1009∼1031) 때 고쳐 지었으나,

공민왕 7년(1358)에 불에 타 버렸다.

지금 있는 건물은 고려 우왕 2년(1376)에 다시 짓고 광해군 때 새로 단청한 것으로,

1916년에 해체·수리 공사를 하였다.

규모는 앞면 5칸·옆면 3칸으로 지붕은 옆면이 여덟 팔(八)자 모양인 팔작지붕으로 꾸몄다.

지붕 처마를 받치기 위해 장식한 구조를 간결한 형태로 기둥 위에만 짜올린 주심포 양식이다.

특히 세부 수법이 후세의 건물에서 볼 수 있는 장식적인 요소가 적어

주심포 양식의 기본 수법을 가장 잘 남기고 있는 대표적인 건물로 평가 받고 있다.

건물 안에는 다른 불전과 달리 불전의 옆면에 불상을 모시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무량수전은 우리 나라에 남아 있는 목조 건물 중 봉정사 극락전(국보 제15호)과 더불어

오래된 건물로서 고대 사찰건축의 구조를 연구하는데 매우 중요한 건물이 되고 있다. 
                                                             -문화재청 홈페이지에서 옮김-

 

 

 

   절 입구에 세워진 당간지주는 보물255호다.

당간은 불교의식이 있을 때 ㅂ보살의 공덕을 기리거나

마귀를 물리칠 목적을로 달았던 깃발을 걸었던 깃대를 말하며,

이 깃대를 고정시켜주기 위해 세운 돌기둥을 당간지주라고 한다.

이 당간지주는 높이가 428m이다.

 

 

 

  

 절 마당에서 내려다 보는 전경...

                                       浮石(뜬돌)이라고 새겨진 바위

 

 

                                                                                   옆으로 앉아계신 부처님 모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