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자랑스런 그리스도인/한국124위 순교복자 열전

한국 124위 복자 열전(1), 윤지충 바오로

여울가 2017. 6. 21. 16:11

 

                               ▲ 윤지충(바오로, 1759-1791)이 모친 상을 당했을 때 유교식 제사 대신 천주교 예절로 장례를 치른 것을 안 종친들이 대노하고 있다.

 

한국 124 복자열전 제1위 윤지충 바오로 (1759~1791년)

 

윤지충(尹持忠) 바오로는 1759년 전라도 진산 장구동에 거주하던

 유명한 양반 집안에서 태어났다. 자는 ‘우용’이고,

 1801년의 신유박해 때 전주에서 순교한 윤지헌(프란치스코)은 그의 아우이다.

 

본래 총명한 데다가 품행이 단정하였던 바오로는 일찍부터 학문에 정진하여

 1783년 봄에는 진사 시험에 합격하였다.

또 이 무렵에 고종 사촌 정약용(요한) 형제를 통해 천주교 신앙에 대해 알게 되었으며,

다음해부터는 스스로 교회 서적을 구해 읽기 시작하였다.

이렇게 3년 동안 교리를 공부한 그는 1787년 인척인 이승훈(베드로)으로부터 세례를 받게 되었다.

 

이후 바오로는 어머니와 아우 윤지헌, 이종 사촌 권상연(야고보)에게도

교리를 가르쳐 천주교 신앙을 받아들이게 하였다.

또 인척인 유항검(아우구스티노)과 자주 왕래하면서 널리 복음을 전하는 데 노력하였다.

 

1790년 북경의 구베아(A. Gouvea, 湯士選) 주교가 조선 교회에 제사 금지령을 내리자,

바오로는 권상연과 함께 이 가르침을 따르기 위해 집안에 있던 신주를 불살랐다.

또 이듬해 여름 어머니(즉 권상연의 고모)가 사망하자 유교식 제사 대신

천주교의 예절에 따라 장례를 치렀다.

이는 어머니의 유언이기도 하였다.

 

윤지충 바오로가 신주를 불사르고, 전통 예절에 따라 제사를 지내지 않았다는 소문은

얼마 안되어 널리 퍼지기 시작하였다. 결국 그 소문은

조정에까지 전해져 그곳을 온통 소란스럽게 하였다.

그리고 얼마 안되어 ‘윤지충과 권상연을 체포해 오라’는 명령이 진산 군수에게 내려졌다.

 

체포령 소식을 들은 바오로는 충청도 광천으로, 권상연은 충청도 한산으로 피신하였다.

그러자 진산 군수는 그들 대신 바오로의 숙부를 감금하였고,

 이러한 사실을 전해들은 그들은 즉시 숨어 있던 곳에서 나와 진산 관아에 자수하였다.

그때가 1791년 10월 중순경이었다.

 

진산 군수는 먼저 그들을 달래면서 천주교 신앙을 버리도록 권유하였다.

그러나 그들은 천주교가 진리임을 역설하면서

 ‘절대로 신앙만은 버릴 수 없다’고 대답하였다.

여러 차례의 설득과 회유에도 불구하고 그들의 태도가 조금도 변하지 않자,

진산 군수는 자신의 힘만으로는 그들의 마음을 돌릴 수 없다고 생각하여

전주 감영으로 이송토록 하였다.

 

전주에 도착한 바오로와 권상연은 이튿날부터 문초를 받기 시작하였다.

우선 전라 감사는 그들로부터 천주교 신자들의 이름을 얻어내려고

갖은 방법을 다 썼지만 아무런 소용이 없었다.

그들은 신앙을 굳게 지키면서 교회나 교우들에게 해가 되는 말은

절대로 입밖에 내지 않았다.

특히 바오로는 천주교 교리를 설명하면서 제사의 불합리함을 조목조목 지적하였고,

 이에 화가 난 감사는 그들에게 혹독한 형벌을 가하도록 하였다.

 

바오로와 권상연은 이미 죽음을 각오하고 있었다.

그러므로 “천주를 큰 부모로 삼았으니, 천주의 명을 따르지 않는다면

이는 결코 그분을 흠숭하는 뜻이 될 수 없습니다.”라고 대답할 뿐이었다.

 

전주 감사는 할 수 없이 그들로부터 최후 진술을 받아 조정에 보고하였다.

이내 조정은 다시 한 번 소란스러워졌고, ‘윤지충과 권상연을 처형해야 한다’는 소리가 드높게 되었다.

 결국 임금은 이러한 대신들의 의견을 받아들여 그들의 처형을 윤허하였다.

당시 전라 감사가 조정에 올린 보고서에는 다음과 같은 내용이 들어 있었다.

 

“윤지충과 권상연은 유혈이 낭자하면서도 신음 소리 한 마디 없었습니다.

그들은 천주의 가르침이 지엄하다고 하면서 임금이나 부모의 명은 어길지언정

천주를 배반할 수는 없다고 하였으며,

칼날 아래 죽는 것을 영광스럽게 생각한다고 말하였습니다.”

 

사형 판결문이 전주에 도착하자 감사는 즉시 바오로와 권상연을 옥에서 끌어내

전주 남문 밖으로 끌고 갔다. 이때 바오로는 마치 잔치에 나가는 사람처럼 즐거운 표정을 하였으며,

따라오는 사람들에게 끊임없이 교리를 설명하였다.

그런 다음 ‘예수 마리아’를 부르면서 칼날을 받았으니,

그때가 1791년 12월 8일(음력 11월 13일)로, 당시 그의 나이는 32세였다.



------------------------------------------------

한국 교회사의 주요한 사건과 순교자의 삶은 탁희성 화백의 그림을 같이 올려드립니다.


탁희성 화백은?  

1960년대 중반 이후 성화 작품에 심취

  

1915년 7월 29일 서울에서 출생한 죽정 탁희성(비오) 화백은

 춘천공립고등보통학교를 졸업하고 모교은사인 석흑의보 선생 문하생으로 입문,

동양화를 전수하고 궁중화가 길에 들어섰다.

 

1960년 가톨릭에 귀의한 후 한국교회사를 연구하면서 매료된 탁 화백은

이로 인해 40년 동안 지켜온 자신의 사고와 화단(畵壇)을 혁신하기 시작했다.

1960년대 중반까지 4차례 개인전을 연 고인은 이후부터는

한국교회사 공부와 당시 풍속 및 복식에 대한 연구 등을 계속하면서 교회사 및

순교자 관련 성화 작품을 그리는 데 심취했다.

 

처음에는 고 오기선ㆍ박희봉 신부와 장익 신부(현 춘천교구장 주교) 등의 도움을 받았으며

 극작가 이서구 선생, 수도사대(현 세종대) 석우선 교수 등에게서는

사회 풍속과 복식에 관한 지도를 받았다.

 

탁 화백은 1970년 `천주교 박해 200년사 성미술전`(22점)을 시작으로

 `김대건 신부 일대기 성화전`(1971년, 26점), `최양업 신부 일대기 성화전`(1976년, 30점),

 `한국 천주교 200주년 기념성화전`(1984년, 19점)을 개최한 데 이어

1989년에는 `한국 103위 성인들의 순교화전`을 열었다.

당시 오륜대 한국순교자기념관장 김옥희 수녀 등의 도움을 받아

4년 간의 작업 끝에 순교성인 103위 특징적 면을 하나하나 조명해 103점으로 완성한 역작이었다.

 

그리고 다시 2년 간 작업 끝에 한국초기교회사 관련 순교자와 증거자들 삶을 화폭에 담아낸 작품들이

 이번에 본지를 통해 공개되는 208점 유작이다.

고인은 1992년 6월 28일에 선종했다.

 

탁 화백의 둘째 아들 탁동호씨는

 "선친은 전국을 다니시며 현장을 답사한 후에 스케치한 것을 가지고 고증을 거친 후에

그림을 그리셨다"면서 "한번 자리에 앉으시면

 팔이 펴지지 않을 정도로 꼼짝않고 그림에 몰두하셨다"고 회상했다.

 이어 "평화신문을 통해 유작들이 공개되는 것을 계기로

가톨릭에 귀의하신 후 순교성화에만 온 힘을 쏟으셨던 부친의 뜻이

새롭게 자리매김됐으면 한다"고 말했다.


[시복시성주교특별위원회 홈페이지 참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