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런일 저런일/사는 즐거움

히브리 노예들의 합창.

여울가 2017. 11. 23. 21:56

베르디의 오페라 '나부코' 중

히브리 노예들의 합창...

 

Giuseppe Verdi 쥬셉페 베르디(1813-1901)는

이탈리아의 북부지방인 론코레에서 1813년 10월 10일에 태어났다.

집은 가난하고 농가와 가까웠기 때문에,

농민으로서의 소박한 기질이 그의 일생을 좌우하였다.

어릴 때부터 음악에 대한 감수성이 강하였고,

마을에서의 바이올린 소리와 교회의 오르간 소리에 마음이 끌리어,

 7세 때에 교회에서 미사반주를 하여 그의 음악적인 소질을 인정받아

 음악가로서 세계적 명성을 남길 수 있었다.

 

특히 오페라 나부코의 3막에 나오는

《히브리노예들의 합창》으로 오늘날 더욱 유명하다.

베르디 자신이 “이 오페라는 행운의 별 아래 태어났다”고 술회했듯이

 이 작품의 성공은 그의 이름을 전 유럽에 떨쳤다.

 

한때 음악가가 되려는 희망을 포기하려고까지 했던 베르디가

 음악가로서 명성을 떨친 것은 오페라 <나부코>부터였다.

베르디는 첫 오페라 <산 보니파치오의 백작 오베르토>로 호평을 받고,

다음 작품 <왕국의 하루>를 작곡할 무렵 부인과 아들의 연이은 죽음을 겪었다.

낙담한 베르디는 두문불출했었다.

 

그러나 라 스칼라 극장의 주인 메렐리는 재능 있는 작곡가의 좌절을 그대로 둘 수가 없었다.

실의에 빠진 그에게 작곡의 의욕이 솟을 만한 대본을 구했다.

 메렐리는 <나부코>의 대본을 마련하여 베르디의 책상 위에 슬그머니 두고 왔다.

 

어느 날 베르디는 낯선 대본을 펼쳐 보다가 눈에 번쩍 띄는 구절을 발견했다.

전체 내용은 구약성경 열왕기하에 나오는 바빌론의 느부갓네살(Nebuchadnezzar) 왕에게

잡혀간 유대인들이 살아가는 이야기였다.

 

그 속에서 조국을 그리며 자유를 구가하는 가사에 빠져들어

 자신도 모르는 사이에 멜로디를 붙여 나가게 되었던 것이다.

 

1842년 3월 9일, 밀라노의 스칼라극장에서 초연된 <나부코>는

오스트리아의 압제 하에 있었던 밀라노 사람들에게 강렬한 자극이 되었다.

 

포로인 유다인들과 자신들을 같은 처지로 여기고 ‘노예들의 합창’을 국가처럼 불렀다.

그 노래는 절망과 우수에 빠져 있던 이탈리아 국민들에게 희망의 날개를 달아 주었다.

 

독립과 통일을 바란 국민들은 베르디를 애국적인 우상으로 삼고,

 작품이 나올 때마다 열광을 아끼지 않았다.

'나부코'는 구약성경에 나오는 바빌론의 임금 느부갓네살이다.

그가 예루살렘을 정복하여 유대인들을 굴복시키고, 그와 그의 두 딸과 유다인들과

둘째 딸의 유다인 애인···사이에서 일어나는 얘기를 다루고 있다.

 

합창곡 "히브리 노예의 합창"은 오페라 3막에서 유다인들이

유프라테스강변에서 노동을 하면서 부르는 합창곡이다. 

 옛 예루살렘을 그리워하는 내용이다.

 

이스라엘은 가나안에 들어가기 전에 시내산에서

하나님으로부터 경고를 이미 받았었다.

모세와 여호수아 그리고 많은 선지자들로부터 경고를 받기를

가나안에 들어가서 죄를 졌을 경우에는 다른 나라에게 잡혀가리라는 경고를 수없이 받았었다.

 그러나 이스라엘은 그 경고를 잊었다.

아니 일부러 잊었다.

그리고 하나님을 떠났다. 떠나서 우상을 섬겼다.

이에 하느님은 많은 이민족을 통해서 징계를 했지만 그들이 듣지 않았다.

 그로 인해서 주전 586년에 바벨론의 느부갓네살을 통해서

 예루살렘을 점령케 한 것이다. 물론 70년 후에 석방은 되었다.

 

이 히브리노예들의 합창은 바벨론에 있을 때의 정경이다.

~~~~~~~~~~~~~~~~~~~~

 

히브리 노예들의 합창...

 

바 뻰씨에 로 술랄 리 도라- 테 (내 마음아 황금빛 날개로)

 

바 띠 뽀 자 수이끌 리 비 수이 꼴리 (언덕위에 날아가 앉아라)

 

오베 올레 짜노떼 삐데 에 몰리(아름답고 정다운 내 고향)

 

라우레 돌-취 델 수올 로 나탈 (산들바람 불어주는 내 고향)

 

델 죠르다 노- 레 리- 베-쌀 루- 타 (요단강 강물에 인사하고)

 

디 시온 네 레 또— 리아떼 라-테 (시온성 별에 입 맞추게)

 

오 미아빠 트리아 씨벨 라 에 뻬르두타 (오 내 조국 빼앗긴 내 조국)

 

오 멤브란 짜-씨까 라에파탈 (오 내 마음 속에 사무치네)

 

아르빠 도르 데이 퐈띠 디-취 바--띠 (운명의 신의 하프 소리)

 

뻬르케 무 타 달쌀 리 체뻰-디 (그리운 가락을 울려다오)

 

레 메모 리에 넬 뻿또 랏췐-디 (마음 속에 불타 오르는 추억)

 

취 퐈벨 라 델 뗌 포-께 푸 (정답게 나에게 말해주오)

 

오 씨밀레 디 쏠리마 아이 퐈띠 (구슬픈 운명에 소리 맞춰)

 

트랏쥐운 수오노 디 크루도 라멘토 (비탄 젖은 소리를 지를 때)

 

오 띠스피리 일 씨뇨 레 운 콘췐-또 (오 그대 위해 주님의 노래가)

 

케 네 인폰다 알 빠띠 레 비르뚜 (자비를 베풀어 주시리)

 

케 네 인폰다 알 빠띠 레 비르뚜 (자비를 베풀어 주시리)

 

케 네 인폰다 알 빠띠 레 비르뚜 (자비를 베풀어 주시리)

 

알 빠띠 레 비르뚜 (베풀어 주시리!!)

 

히브리 노예들의 합창

https://youtu.be/qNnuUvPJxb0.



https://youtu.be/OqWWpXfO7ts